top of page

Ozone Application

양파, 마늘 등 식품저장에 오존 이용 및 기대효과

양파는 국내 저온 저장고에 저장되는 품목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작목 중에 하나이다. 해마다 생산량 및 저장물량에 따라서 가격의 등락폭이 심하기 때문에 양파 저장산업은 농업인이나 이에 관련된 저장업 관계자 여러분들에게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작목이기도 하다. 가격의 등락폭이 심한 이유 중에 하나는 저장 중 중량감소율 및 부패가 심하여 시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이유도 있기 때문이다. 양파는 저장 시 밭에서 전이되어 온 많은 미생물이 표피에 부착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부패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다른 장해보다 월등히 크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험되어 왔지만 생력적으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아직은 없다.


이제는 저장중 오존 살균 탈취기를 이용하면 현재의 저장기술 보다는 많은 부패 경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수확 후 처리
양파는 표피가 약하고 상처받기 쉽기 때문에 수확시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일부 장마철과 수확시기가 겹치기 때문에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적절한 처리가 요구되어 진다. 양파를 수확하여 줄기를 절단한 후 그물망이나 상자에 넣어 저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곧 바로 저장하면 양파 외피에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표피에는 부패성 미생물이 많이 부착되어 있어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이것을 원예학적으로 큐어링(수확 후 상처치유) 이라고 한다. 양파의 큐어링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수확 후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열풍건조는 양파가 고온에 상처받지 않을 정도의 열에서 표면의 수분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표피의 부패 미생물을 적절히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온도는 대개 35~60 C 정도가 적당하다.

이렇게 큐어링을 하고 저장을 하게 되면 저장시 중량 감소율과 부패 미생물에 의한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렇게 큐어링 처리를 하고 저장고에 입고되는 비율은 상당히 미미한 정도이다.

2) 관행저장
대개 양파는 수확 후 밭에서 1~10일 정도(비가오지 않을 경우) 경과 후 저장하게 되는데, 저장 온도는 0~1 °C, 습도는 부패 미생물의 발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제습이 중요하며, 1~2개월 후에 습도를 70~75% 정도 설정해 주지만 부분적으로 과습되는 경우가 있어 양파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상업용 저장고에서는 습도를 거의 맞추지 않고 저장을 한다. 저온저장 시 적재방법은 대개 세 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 망에 담은 양파를 단아를 이용해서 충적하는 방법,

둘째, 구멍이 뚫린 유공상자에 양파를 담아 충적하는 방법,

셋째, 저장고에 양파를 그대로 쌓아서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첫째와 두번째는 그래도 부패 미생물에 의한 피해를 많이 줄일 수 있으나, 셋째 방법은 양파를 저장함에 있어 가장 잘못된 방법중에 하나이다.

3) 오존의 특성
관행적으로 저장되고 있는 양파에 대해 부패 미생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실제적으로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확 후 저장전 큐어링 처리를 한다고 해도 저장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저장환경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중량 감소율이나 부패가 많이 발생을 하게 되는데, 현실적으로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저장고 내에 오존가스로 처리하게 되었다. 오존의 살균효과에 대해서는 예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과거 30년 이상 계속되어 왔다. 1983년 네덜란드의 상수처리에서 소독을 목적으로 처음 사용되었고, 염소의 6배이상 산화력이 강하여 살균, 탈취,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존은 공기나 산소를 원료로 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산소로 환원되어 2차 오염을 남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존은 피 살균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하게 살균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농산물 저장에 오존을 이용할 경우 어떠한 종류의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오존을 이용한 살균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수확 직후 과실 및 채소의 표면에는 토양, 수중, 대기, 인간에서 유래된 미생물들이 많이 부착되어 있는데, 그 미생물의 총 균수는 부착된 부위와 생육된 환경조건마다 다르고 과실에 있어서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서 균수도 증가 하는데, 이는 과실이 성숙하면서 표피가 연화되어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4) 저장고내 오존가스의 처리 
‘실제 저장되어 있는 양파저장고(25평)에서 오존가스0.1~0.3 ppm으로 4개월간 처리한 결과 중량 감소율에서는 40%의 감소효과가 있었다. 부패율에서는 관행대비 1/4정도 밖에 부패하지 않아 탁월한 효과를 얻었다.

 
부패를 유발하는 미생물 분포도에 있어서는 관행 저장의 경우 Aspergillus, Penicilliun, Botrytis의 순서대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오존가스로 처리한 저장고에서는 상기 미생물이 거의 미미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오존은 자칫 인체에 피해를 줄 수도 있고 식미에 나쁜 영향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저장 후에 식미평가를 실시한 결과 오존가스로 처리한 저장고의 양파와 관행으로 저장한 양파를 비교한 바, 식미에 있어서 아무런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양파” 저온 저장 중 오존가스 처리에 의한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양파” 저온 저장고 내 오존가스 처리에 의한 미생물 분포도

# PDA 배지 1시간 채취 후 23 °C에서 72시간 배양 (PDA 배지 10개 합계)
Z : colony 수 + : 1~20,  ++ : 21~40,  +++ : 41~60,  ++++  : 61~80,   +++++ : 81이상

“양파” 저온 저장중 오존가스처리에 의한 식미도 (저장120일 후)

Z  지수 :    +++ : 양호,    ++ : 보통,    + : 나쁨

양파를 저온 저장함에 있어 중량감소율을 줄이는 생력적인 방법은 오존가스가 가장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존가스는 처리 시 농도가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에 제시된 농도를 반드시 준수해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안정된 오존가스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오존발생기를 면밀히 살피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5) 저온 저장 창고의 오존이용 기대효과

  • 저온 저장시 오존으로 처리하면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키고 맛을 향상시키며  곰팡이 등이 제거되어 저장기간이 늘어난다.

  • 저장농산물의 포장 및 세척 공정시 흔입될 수 있는 미생물 등을 살균(소독)시키며, 단백질, 식이섬유, 미네랄 등 농산물의 고유성분을 보존해 준다.

  • 저장농산물의 세척수로 사용하면 오존의 탈취 효과로 하여금 농산물에서 나는 비린내 등 불쾌한 냄새를 없애준다.

  • 농산물에 묻어있는 잔류농약, 중금속등의 성분을 산화 분해하여 준다.

  • 오존을 사용하면 지하수에 들어있는 철, 망간 등 중금속성분을 제거해 준다.

  • 저장창고에서 사용되는 기기, 도구의 세척시 소독제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홈페이지 파비콘.png

청림테크
010-3172-9511

bottom of page